- 작성일
- 2025.09.17
- 수정일
- 2025.09.17
- 작성자
- 화학과
- 조회수
- 19
화학과 김동연 교수, Nature Synthesis 8월호 출판
우리 학과 김동연 교수님이 국제 저명 저널 Nature의 자매지인 Nature Synthesis (영향력지수: 20.0, Top 4.4% (화학))에 1저자(공동)로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동화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토머스 하라미요(Thomas F. Jaramillo) 교수팀과 함께 외부 전력이나 태양광 없이도 과산화수소를 친환경적으로 뽑아내는 장치를 개발했다. 해당 장치는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나오는 글리세롤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물질인 글리세르산까지 함께 생산하며, 오히려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계산과학 연구를 주도한 김동연 교수는 전극을 구성하는 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전극 표면의 산화 상태가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낮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계산적 통찰은 향후 알코올 기반 에너지 생산 장치 등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설계 관점을 제시해준다.
해당 연구는 오동락 박사(現 KIST 박사후연구원), UNIST 황선우 연구원, 스탠퍼드대 제시 메튜(Jesse Matthews) 연구원과 UNIST 장지욱 교수연구팀, KAIST 서동화 교수연구팀, 미국 토머스 하라미요(Thomas F. Jaramillo) 교수팀과 수행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연구자교류지원사업(Brainlink)과,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BRL), 중견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 졌다.
Article: Nature Synthesis, 4, 931–939 (2025)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